웨딩박람회 다녀오면 머리가 진짜 지끈지끈해요. 처음엔 “정보만 좀 보자~” 하고 갔다가, 스튜디오, 드레스, 메이크업, 웨딩홀, 혼수까지 정신없이 돌다 보면 양손엔 전단지 뭉치고, 머릿속은 하얘지고… 막판엔 “아 뭐가 어디였지?” 혼란이 와요ㅋㅋ 저도 첫 박람회 갔다가 집에 와서 보니 업체 이름은 기억도 안 나고, 견적서만 덜렁 있는데 어디가 좋았는지 메모도 안 해놔서 다시 비교하느라 고생했어요. 그래서 오늘은! 웨딩박람회에서 받아온 정보들을 어떻게 정리하고 비교하면 좋을지, 아주 현실적인 방법들 알려드릴게요. 엑셀 못 해도 괜찮아요. 핵심만 딱 잡으면 돼요.
1. 받자마자 간단한 메모부터 해두는 게 좋아요
- 업체별 첫인상, 느낌 간단히 적기
현장에서 받은 자료나 견적서에 바로 “응대 친절함”, “가격 괜찮음”, “드레스 예쁨”, “별로임ㅠ” 이런 식으로 간단히 느낌 써놓으면 나중에 기억할 때 진짜 도움 돼요. - 누구랑 상담했는지도 같이 적기
상담자 이름이나 명함 받은 사람 표시해두면 다시 연락하거나 문의할 때 유용해요. 저도 ‘이름 모름’이라고 써놨다가 재상담 때 엄청 헤맸어요ㅋㅋ
2. 항목별로 분류해서 정리하는 게 핵심이에요
- 스드메 / 웨딩홀 / 스냅 / 한복 / 혼수 나눠서
그냥 무작정 모아놓으면 정신 없어요. 폴더나 노트, 노션 같은 걸로 항목별로 분류해서 보기 좋게 정리해두세요. - 견적서 파일 이름도 통일
예: [스드메]_루나웨딩_기본견적.pdf 이런 식으로 저장하면 헷갈릴 일이 줄어요. “이거 어디 거였지?” 하는 거 방지돼요.
3. 비교표 만들 땐 엑셀이나 구글시트가 좋아요
- 한눈에 비교할 수 있게 항목 나누기
예:
| 업체명 | 가격 | 포함 항목 | 추가 비용 | 메리트 | 단점 | 이런 식으로 항목을 만들어 놓고, 각 업체별로 채워 넣으면 좋아요. 안 써도 되는 건 그냥 ‘-’라고 표시하면 되고요. - 중요 포인트엔 색깔 칠하기
가격이 낮은 곳은 초록, 추가금 있는 곳은 노랑, 단점 큰 곳은 빨강 이런 식으로 색 구분하면 나중에 한눈에 들어와요. 보기만 해도 머리 정리돼요.
4. 실제 혜택과 마케팅용 문구는 구분해서 보기
- “현장 계약 시 추가 증정!”은 진짜일까?
계약을 유도하기 위한 문구들이 많아요. “스냅촬영 무료!”, “수입드레스 업그레이드!” 이런 말들, 실제 계약서에 적혀있는지 꼭 확인하고 정리해두세요. - 포함된 항목과 빠진 항목 구분
어떤 데는 ‘저렴하다’ 싶었는데 알고 보니 드레스 1벌만 포함이고 나머지는 추가금이었어요. 반대로 ‘비싸 보이는데 다 포함’인 곳도 있어요. 이런 거 하나하나 비교해야 진짜 가성비가 보여요.
5. 둘이서 이야기 나누고 별점 주기
- 신랑·신부 각각 별점 매기기
각 업체마다 5점 만점으로 “이건 몇 점?” 주고, 의견 다르면 왜 그런지 이야기해보세요. 둘이 기준을 맞추는 데 도움이 돼요. - “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느낌이 좋았다”도 기록
이상하게 설명은 안 되는데 느낌 좋은 데 있잖아요? 감이 중요한 경우도 있어요. 그럴 땐 그 느낌도 메모해두면 나중에 결정할 때 고민 덜해요.
6. 일정과 예산에 맞게 우선순위 정하기
- 전체 예산표와 비교
내가 쓰려는 예산에서 이 업체가 과하지 않은지, 남는지 체크해보세요. 예산 오버되면 어떤 항목을 줄일지 미리 생각해두는 것도 중요해요. - 일정 겹치는 업체는 빨리 결정
인기 있는 웨딩홀이나 스드메는 날짜 겹치면 놓치기 쉬워요. 마음에 드는 업체가 겹칠 가능성 있으면, 정리 후 빠르게 컨택하는 게 좋아요.
웨딩박람회는 ‘정보 축제’ 같지만, 그냥 갔다 왔다고 결혼 준비가 끝나는 건 아니에요. 받아온 정보들을 내 상황에 맞게 정리하고 판단해야 진짜 도움이 되죠. 정리만 잘해도 시간, 돈, 스트레스 모두 줄일 수 있어요.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, 이걸 함께 준비하는 두 사람의 합의와 취향 맞추기예요. 누구 하나만 끌려가면 나중에 후회 생겨요. 차근차근 정리하고, 둘이 얘기 나누다 보면 “아, 우리 이 업체다” 하는 감이 와요. 오늘 저녁엔 받아온 전단지 한 뭉치 꺼내놓고 같이 정리해보는 거 어때요? 진짜 재밌기도 해요 🙂